*작성자는 공부 중인 학생으로 잘못 된 정보가 있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컴퓨터끼리 통신을 하려면 통신할 컴퓨터의 주소인 IP를 알아야 한다.
장치나 서버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주소를 네트워크 주소라고 하는데,
이에는 IP주소와 MAC이 있다.
IP 주소
인터넷에서의 컴퓨터 주소이다. 논리적 주소이고 총 4Byte로 이루어져 있다.
127.0.0.1은 본인의 PC를 의미한다.
💡 IP 확인하는 방법
cmd 창에서 config 또는 ipconfig/all 명령어를 입력하여 ipv4 주소를 확인하면된다.
MAC(MAC Address)
바뀌지 않고 전세계 유일하다. Lan카드의 주소이다.
💡 MAC 확인하는 방법
cmd 창에서 ipconfig/all 명령어를 입력하여 물리적 주소를 확인하면된다.
그러나, 우리가 브라우저에서 웹 페이지를 요청할 때 서버 컴퓨터의 IP를 직접 요청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네이버 웹 페이지를 요청하기 위해서 www.naver.com 을 입력하면 네이버의 웹 페이지에 연결할 수 있다.
DNS(Domain Name System)
IP는 외우기 힘들기 때문에 대신 사용하는 인터넷 상의 문자 주소이다.
DNS Server
문자 주소(DNS)를 숫자 주소(IP)로 변환해주는 서버이다.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인터넷 상의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
여기서, DNS와 URL의 각 개념이 이해가 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DNS와 URL의 차이에 대해 예제로 알아보면 감이 잡힐 것이다.
DNS는 단순히 IP를 외우기 쉽도록 문자로 바꾼 것이고,
URL은 프로토콜 + 도메인 + 리소스경로로 이루어져 있다.
예시를 들어보면,
URL은 http://www.naver.com:80/index.html 이고
DNS는 www.naver.com 이다.
URL 분석
http://www.naver.com:80/index.html 이라는 URL을 분석해 보자.
URL을 브라우저에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과정이 생겨난다.
1. http://
사용자가 위 url을 브라우저에 입력하면 브라우저는 URL의 가장 앞에 있는
http 프로토콜을 확인한다. 이는 브라우저가 HTTP 요청을 보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www.naver.com
두번째로, www.naver.com 은 네트워크 연결 주소(DNS)를 의미한다.
DNS 서버에 www.naver.com의 IP주소를 요청하고 DNS 서버는 도메인 이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반환한다.
3. :80
브라우저는 반환받은 IP주소와 URL에 적혀있는 80번 포트로 TCP 연결을 설정한다.
(Port의 개념은 아래에 설명되어 있음)
4. /index.html
TCP 연결이 설정되면, 브라우저는 요청을 전송하고, 서버는 index.html파일을 브라우저에게 응답한다.
응답을 받은 브라우저는 index.html파일을 해석하여 웹페이지를 렌더링한다.
여기서 포트(Port)라는 개념이 처음 등장하는데,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때, IP 주소로 통신할 대상 장치(컴퓨터)를 식별하고
IP안에는 여러 개의 Port가 있는데 포트 번호는 장치 내에서 특정 서비스를 식별할 때 이용한다.
즉, URL을 이용하여, DNS를 IP로 변환하여 특정 컴퓨터로 접근하고 Port번호로 컴퓨터 내의 특정 서비스에 접근하는 것이다.
'FE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통신 (0) | 2024.06.01 |
---|---|
웹 애플리케이션(Web Application)의 구조 (1) | 2024.06.01 |
풀스택 테크 로드맵 (0) | 2024.06.01 |